불편 환승 횟수 관련 그리고 기타 불편사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도영
조회Hit 979회 작성일Date 24-12-26 01:23
조회Hit 979회 작성일Date 24-12-26 01:23
본문
안녕하십니까?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한 시민으로써, 평소 불편을 겪었던 상황을 공유해보고자 글을 작성해봅니다.
1. 환승 무제한?
본 조합 사이트의 정보에 의하면 "운행정보" 란의 "환승안내" 부분에서 확인해볼 수 있듯이, 환승 횟수는 분명히 동일 노선이 아닐 경우 무제한 환승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용 결과 1회만 환승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사이트 내 무제한 환승으로 표기되어 있는 부분을 1회만 환승으로 고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 환승 횟수 2~3회로 변경
1회만 환승이 사실이라면, 버스 환승 횟수를 2회 또는 3회 환승으로 변경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이번 버스 개편으로 북구, 동구, 울주군 지역과 같은 경우 평소보다 1회 환승은 더 필요한 상황인데, 기존과 같은 1회 환승으로는 더이상 기본 요금으로 갈 수 없게 되는 지역이 분명히 늘어난 실정입니다. 예산이 부족하다 할지라도 기존과 같은 상황에서는 1회만 충분하다고 볼 수 있으나 환승을 강제하는 정책 기조를 시에서 잡았다면 환승 횟수를 늘리지 않는 것은 자가당착이겠지요.
3. 정류장 누락
732번 버스가 BIS 상 "쌍용아진그린타운2차" (20204) 정류장에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누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중앙시장 정류장은 누락되었다 추가된 것과 대조적입니다.
4. 1214번 굴곡 및 실수요지역처의 외면, 막차 시간대의 심각한 문제
1214번 (농소차고지-노포동역) 시간표가 평일에는 21:20 노포 출발이 막차지만, 토/공 시간표 기준 막차는 18:10 노포 출발입니다. 토요일과 공휴일 기준 수요는 18:10보다 늦은 시간에 많이 발생합니다. 19시나 20시 21시에 한대 씩이라도 추가해주십시오. 수요가 많지 않아서라 반문하신다면,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요가 창출되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실제로, 동해선 등과 같은 부산과 울산을 잇는 교통망은 부산으로 외출하였다 울산으로 돌아오는 막차 시간대 수요가 평시보다는 더 많은 실정입니다. 승무원 처우때문이라 반문하신다면 혁신도시부터 시청, 울산대학교의 굴곡 때문에 1시간이 걸리는 실정으로 아마 불만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노선 굴곡부터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굴곡이 많아 수혜가 되어야 할 신천/달천/혁신도시 주민들이 정작 외면하고, 승무원 분들도 불만이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압니다. 신천/달천/혁신도시 주민들을 위한 노선이 대체노선이 많은 시청/울산대학교/웅촌/서창/덕계를 다 돌 심산이라면 그냥 노선 폐선하십시오. 아무리 직좌 노선이라해도 2시간 걸려 부산까지 버스 타고 가는 사람 많지 않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을 울산버스앱에서 확인할 경우 첫막차 시간표를 여러 번 눌러봐야 기존 시간표가 표출되지 않고 맞는 토/공 시간표인 18:10이라 제대로 표출되는 상황이라 혼돈이 있습니다. 개선이 필요합니다.
5. 명촌행 노선 오인 승차 관련.
태화강역 북구 방면 승강장은 명촌차고지 행이고, 남구 방면으로 타야 북구 주거지역으로 갈 수 있는 것 자체가 행정 체제 미비라 생각합니다. 또한 이는 실제로 오인 승차하는 시민들이 많았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행선지 표기를 바로 잡던지, 명촌차고지 행만 승강장을 따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6. 시민 위주 간결한 정류장 표기 필요
참바른병원 정류장이 "현대백화점 사거리"로 변경되었는데, 현대백화점 사거리라는 명칭보다는 "현대백화점" 또는 "현대백화점앞" 등의 명칭이 더 적절하지 않았느냐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현대백화점 사거리라는 명칭은 울산 시민들이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 지명이며, 유상병기 이전(2021년 11월 이전 시기)정류장 명칭도 "현대백화점 이었다는 점에서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동구 내 마을버스 정류장인 현대백화점과의 중복 때문이라면, 현대백화점 동구점 등으로 변경 뒤 삼산동 내 위치한 현대백화점 정류장 명칭은 참바른병원이라는 유상병기 정류장 명칭 이전의 정류장 이름으로 돌아가는 것이 간략할 뿐 아니라, 일관성도 있으며 시민들의 인식에는 더욱 좋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변경하기 어렵다면 앞으로의 명칭 변경에 있어서는 더욱 간결하게 하는 것이 혼란 방지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7. 마실버스와 관련된 정보의 폐쇄성
BIS에 표기되어 있지 않는 마실버스 정류장 명칭과 위치를 제대로 표기해 주십시오. 기사 혼자 종점까지 가는 경우도 정말 많습니다. 음영지역 복지라는 취지는 공감하나 제대로 된 정보 공개 없이 버스 운영은 혈세 낭비라는 생각만 듭니다. BIS 구축까지는 바라지도 않습니다. 시간표도 개정되면 마실버스 운영 시간표를 운행정보 탭에 따로 신설하여 바로바로 조합 홈페이지에 게시해 주십시오. 제대로 된 홍보 없이 벌써 5년이라는 세월만 지났습니다. 반성해야 합니다. 울주83번 유니스트 후문 정류장이 어디인지 몰라서 눈앞에서 놓쳤고, 구영리 내부 정류장도 인터넷 상에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울주89번 버스도 우미린2차푸르지오2차에 정차한다는 사실을 인터넷 어디서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정말로 그 지역 주민이 아니면 이용할 수 없게 만드는 닫힌 노선이 의도라면 잘하고 있는 것이 맞겠네요!
8. 산업로 직통 노선의 부재
기존 482번, 492번, 712번 수요 및 인지도가 높았음에도 불구, 이 노선들을 전부 명촌으로 단축시킨 나머지 산업로를 직통하여 상식적인 직행 버스가 사라졌습니다. 직행좌석이 존재한다고는 하나 환승횟수 1회인 현실로는 어느 목적지 가기도 어려운 뿐인더라 환승을 1회 내로 한다고 해도 배차시간이 맞지 않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한대만이라도 원상복구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노선 변경과 관련된 것은 조합이 민원제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알지만, 불편 사항이라 적어봅니다.
만약 이와 같은 사항이 버스조합이 아닌, 시청 대중교통과 등지에 문의해야 하는 사안인 경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안들이라도 조합에서 나서서 적극적으로 각 담당부처에 전달해주시길 바랍니다.
아무리 시청이 시민들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할지라도 이를 바로잡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상대는 조합입니다.
민원 관리자님 고생이 많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귀하 및 조합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한 시민으로써, 평소 불편을 겪었던 상황을 공유해보고자 글을 작성해봅니다.
1. 환승 무제한?
본 조합 사이트의 정보에 의하면 "운행정보" 란의 "환승안내" 부분에서 확인해볼 수 있듯이, 환승 횟수는 분명히 동일 노선이 아닐 경우 무제한 환승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용 결과 1회만 환승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사이트 내 무제한 환승으로 표기되어 있는 부분을 1회만 환승으로 고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 환승 횟수 2~3회로 변경
1회만 환승이 사실이라면, 버스 환승 횟수를 2회 또는 3회 환승으로 변경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이번 버스 개편으로 북구, 동구, 울주군 지역과 같은 경우 평소보다 1회 환승은 더 필요한 상황인데, 기존과 같은 1회 환승으로는 더이상 기본 요금으로 갈 수 없게 되는 지역이 분명히 늘어난 실정입니다. 예산이 부족하다 할지라도 기존과 같은 상황에서는 1회만 충분하다고 볼 수 있으나 환승을 강제하는 정책 기조를 시에서 잡았다면 환승 횟수를 늘리지 않는 것은 자가당착이겠지요.
3. 정류장 누락
732번 버스가 BIS 상 "쌍용아진그린타운2차" (20204) 정류장에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누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중앙시장 정류장은 누락되었다 추가된 것과 대조적입니다.
4. 1214번 굴곡 및 실수요지역처의 외면, 막차 시간대의 심각한 문제
1214번 (농소차고지-노포동역) 시간표가 평일에는 21:20 노포 출발이 막차지만, 토/공 시간표 기준 막차는 18:10 노포 출발입니다. 토요일과 공휴일 기준 수요는 18:10보다 늦은 시간에 많이 발생합니다. 19시나 20시 21시에 한대 씩이라도 추가해주십시오. 수요가 많지 않아서라 반문하신다면,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요가 창출되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실제로, 동해선 등과 같은 부산과 울산을 잇는 교통망은 부산으로 외출하였다 울산으로 돌아오는 막차 시간대 수요가 평시보다는 더 많은 실정입니다. 승무원 처우때문이라 반문하신다면 혁신도시부터 시청, 울산대학교의 굴곡 때문에 1시간이 걸리는 실정으로 아마 불만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노선 굴곡부터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굴곡이 많아 수혜가 되어야 할 신천/달천/혁신도시 주민들이 정작 외면하고, 승무원 분들도 불만이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압니다. 신천/달천/혁신도시 주민들을 위한 노선이 대체노선이 많은 시청/울산대학교/웅촌/서창/덕계를 다 돌 심산이라면 그냥 노선 폐선하십시오. 아무리 직좌 노선이라해도 2시간 걸려 부산까지 버스 타고 가는 사람 많지 않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을 울산버스앱에서 확인할 경우 첫막차 시간표를 여러 번 눌러봐야 기존 시간표가 표출되지 않고 맞는 토/공 시간표인 18:10이라 제대로 표출되는 상황이라 혼돈이 있습니다. 개선이 필요합니다.
5. 명촌행 노선 오인 승차 관련.
태화강역 북구 방면 승강장은 명촌차고지 행이고, 남구 방면으로 타야 북구 주거지역으로 갈 수 있는 것 자체가 행정 체제 미비라 생각합니다. 또한 이는 실제로 오인 승차하는 시민들이 많았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행선지 표기를 바로 잡던지, 명촌차고지 행만 승강장을 따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6. 시민 위주 간결한 정류장 표기 필요
참바른병원 정류장이 "현대백화점 사거리"로 변경되었는데, 현대백화점 사거리라는 명칭보다는 "현대백화점" 또는 "현대백화점앞" 등의 명칭이 더 적절하지 않았느냐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현대백화점 사거리라는 명칭은 울산 시민들이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 지명이며, 유상병기 이전(2021년 11월 이전 시기)정류장 명칭도 "현대백화점 이었다는 점에서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동구 내 마을버스 정류장인 현대백화점과의 중복 때문이라면, 현대백화점 동구점 등으로 변경 뒤 삼산동 내 위치한 현대백화점 정류장 명칭은 참바른병원이라는 유상병기 정류장 명칭 이전의 정류장 이름으로 돌아가는 것이 간략할 뿐 아니라, 일관성도 있으며 시민들의 인식에는 더욱 좋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변경하기 어렵다면 앞으로의 명칭 변경에 있어서는 더욱 간결하게 하는 것이 혼란 방지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7. 마실버스와 관련된 정보의 폐쇄성
BIS에 표기되어 있지 않는 마실버스 정류장 명칭과 위치를 제대로 표기해 주십시오. 기사 혼자 종점까지 가는 경우도 정말 많습니다. 음영지역 복지라는 취지는 공감하나 제대로 된 정보 공개 없이 버스 운영은 혈세 낭비라는 생각만 듭니다. BIS 구축까지는 바라지도 않습니다. 시간표도 개정되면 마실버스 운영 시간표를 운행정보 탭에 따로 신설하여 바로바로 조합 홈페이지에 게시해 주십시오. 제대로 된 홍보 없이 벌써 5년이라는 세월만 지났습니다. 반성해야 합니다. 울주83번 유니스트 후문 정류장이 어디인지 몰라서 눈앞에서 놓쳤고, 구영리 내부 정류장도 인터넷 상에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울주89번 버스도 우미린2차푸르지오2차에 정차한다는 사실을 인터넷 어디서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정말로 그 지역 주민이 아니면 이용할 수 없게 만드는 닫힌 노선이 의도라면 잘하고 있는 것이 맞겠네요!
8. 산업로 직통 노선의 부재
기존 482번, 492번, 712번 수요 및 인지도가 높았음에도 불구, 이 노선들을 전부 명촌으로 단축시킨 나머지 산업로를 직통하여 상식적인 직행 버스가 사라졌습니다. 직행좌석이 존재한다고는 하나 환승횟수 1회인 현실로는 어느 목적지 가기도 어려운 뿐인더라 환승을 1회 내로 한다고 해도 배차시간이 맞지 않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한대만이라도 원상복구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노선 변경과 관련된 것은 조합이 민원제기 대상이 아닌 것으로 알지만, 불편 사항이라 적어봅니다.
만약 이와 같은 사항이 버스조합이 아닌, 시청 대중교통과 등지에 문의해야 하는 사안인 경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안들이라도 조합에서 나서서 적극적으로 각 담당부처에 전달해주시길 바랍니다.
아무리 시청이 시민들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할지라도 이를 바로잡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상대는 조합입니다.
민원 관리자님 고생이 많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귀하 및 조합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Re: 414번 출근 불편 24.12.27
- 다음글Re: 환승 횟수 관련 그리고 기타 불편사항 24.12.27

